본문 바로가기
나와 맞는 댕댕이 종을 살펴보자!

시추의 성격과 매력, 기를 때 유의점 ShihTzu

by 순똘 2023. 7. 24.

시추 ShihTzu의 성격과 매력, 기를 때 유의점

시추

 

시추는 어떤 개일까?

'사자'를 뜻하는 중국어에서 유래한 이름을 갖고 있습니다. 얼굴의 털이 코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뻗혀 나가서 마치 국화와 비슷하게 보여 국화개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습니다. 티베트 출신으로 고대 때부터 있었던 전통 있는 개라고 여겨집니다. 중국에서 발견된 뼈를 통해 8천 년 전에도 존재했음이 밝혀졌습니다. 페키니즈와 라사 압소, 티베트 산악개 품종의 교배로 나온 것이라 추측되는 견종입니다. 절설이 굉장히 많은데 그중 하나는 여러 강도들이 부처님을 살해하려고 찾아왔는데 작은 개가 사자로 변해 강도들을 도망치게 하고 부처님의 목숨을 구했으며 그 뒤 다시 작은 대로 돌아갔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때 부처님이 개의 이마에 키스를 해 주었는데 그것이 시추 머리에 있는 흰 반점이 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중국 고대 예술품에도 자주 등장합니다. 단두종이며 아래턱이 윗턱보다 약간 넓습니다. 크고 둥근 눈, 늘어진 귀, 긴 털, 짧은 다리와 통통한 몸으로 유명합니다. 부드럽고 긴 이중털을 가지고 있습니다.색은 하얀색에 검은색, 금색 등이 다양하게 섞여 있습니다. 키는 20~28센티미터 정도이고 무게는 4~7.5킬로그램 정도입니다. 평균 수명은 10~18년 정도입니다. 기록으로 남아 있는 가장 오래 산 시추는 23년을 살았습니다. 1969년에 미국 켄넬 클럽으로부터 공식 인정을 받았습니다.

 

어떤 매력을 가지고 있을까?

장난기가 많으면서도 차분하고 친근합니다. 두려워하지 않고 지체 없이 실행으로 옮깁니다.  예전에 중국 황실에서 황제 무릎 위에서 편안하게 지내며 자랐습니다. 사람들을 따라 방에서 방으로 옮겨다니는 것이 대부분의 활동일 정도였습니다. 긴 털이 땅을 휩쓸고 다니는 모습이 우아했습니다. 요즘은 다양한 스포츠에도 참여하며 열심히 활동하는 개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당연히 아파트 생활에 적응이 가능합니다. 최소한의 운동이 필요합니다. 매일매일 짧은 산책과 실내 놀이 정도면 충분할 것입니다. 가족과 함께 있을 때 가장 행복합니다. 집에 새로 온 사람들에게 짖을 수 있지만 집 안으로 들어가는 순간 친구로 맞이할 것입니다. 도둑조차 환영할 수 있으니 조심하세요. 저자극성 개에 포함되며 털이 잘 빠지는 개는 아닙니다. 

 

기를 때는 어떤 점에 유의해야 할까?

독립적인 성격으로 순종적이지는 않습니다. 빗질을 자주 하지 않으면 쉽게 엉킵니다. 귀가 덮여 있는 데다가 긴 털이 늘어져 있어 통풍에 유의해야 합니다. 자주 귀를 들여다 보고 환기할 수 있도록 열어 줘야 합니다. 염증이 있는지 없는지도 꼭 확인해 보세요. 유전병이 많이 있는 편입니다. 두개골 기형, 슬개골 탈구, 심장병, 눈 관련 질병, 귀 관련 질병, 피부 질병(민감하고 알레르기가 생기기 쉽습니다) 일정 나이 이상이 되거나 뭔가 이상한 기운이 감지된다면 병원에 데리고 가서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두꺼운 털과 주둥이가 짧아 수영을 잘하지 못합니다. 더위에도 취약하므로 온도에 신경써 주어야 합니다. 털이 길기 때문에 눈을 찌르지 않게 하려면 짧게 자르거나 묶어 주어야 합니다. 쌕쌕거리는 소리가 나거나 코를 고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기 배설물을 먹을 확률이 있으므로 습관이 되지 않게 훈련시키고 똥을 잘 청소해 주어야 합니다. 집 뒤뜰에서 놀기를 좋아하기는 하지만 집 밖에서 기르는 개는 아닙니다. 공을 쫓지만 돌려주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땅을 파는 것도 좋아하고 소리가 엄청 큰 편은 아니지만 잘 짖는 편입니다. 오래 혼자 두면 분리 불안이 생길 수 있고 땅을 파거나 짖거나 물거나 으르렁거리는 등 다양한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개를 위해 충분한 시간을 낼 수 없는 보호자라면 입양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소음 제한이 있는 거주지에서 살고 있다면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먹는 것을 좋아해 비만이 되기 쉬운 견종입니다. 체중 관리에 신경써 주지 않으면 관절 등의 다른 부차적인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체중이 늘어난다 싶으면 먹이는 양을 줄이고 운동량을 늘려 주십시오. 여기에 나온 정보들은 일반적인 특성이지 개개의 강아지들에 엄격하게 적용되는 특성이 아닙니다. 개별적인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